과학고 학생들의 필독서 <말문 트인 인터넷 바카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모든 분야의 인터넷 바카라고, 인터넷 바카라 대학 프로그램의 필독서!” _ <사이언스
“왜 인터넷 바카라은 종종 대중들과 소통하는 데 힘들어하는가에 대한 뛰어난 해설서!” _ <네이처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과학과 이야기 간의 문화적 충돌, 그것을 제대로 파헤치고 있는 책 <말문 트인 인터넷 바카라! 인터넷 바카라에서 영화제작자로 전향한 저자 랜디 올슨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에 대한 설명이 대중에게 온전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이유와 유쾌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명쾌하게 제시한다.
인터넷 바카라에 목소리가 있다면…… 칼 세이건
과학의 목소리, 즉 과학을 대변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을 가장 잘했던 사람은 여전히 칼 세이건이다. 그는 누구보다 훌륭한 천문학자이자 우주화학자이며 비할 데 없는 과학의 보급자다. 그는 1977년 자신이 집필한 ≪에덴의 용≫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미디어의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고, 1980년대에 텔레비전 시리즈물 <코스모스로 그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 저서와 텔레비전 시리즈를 통한 성취도를 감안할 때 그는 최근 수십 년간 순수과학을 대중에게 전달함에 있어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인터넷 바카라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를 이 책의 내용과 연관해 파헤쳐보자.
1장. 그는 머리를 많이 사용한다. 훌륭한 사상가인 것이다. 하지만 그는 생각에만 집착하지 않았다. 그의 전기를 쓴 윌리엄 파운드스톤은 그가 대중에게 인터넷 바카라을 이해시키고 전달하기 위해 항상 엄청난 노력을 쏟아 부었기 때문에 그의 친구들은 그가 잠을 잘 때면 왜 그렇게 잠잠한지 궁금했다고 말한다.
2장. 칼 세이건은 무미건조함을 피함으로써 결코 부자연스럽지 않았다. 그랬다면 어떻게 자니 칼슨의 <투나잇 쇼에 몇 번씩이나 출연할 수 있었겠는가? 대부분의 인터넷 바카라들은 그것을 어이없는 농담이나 주고받는 쇼로 생각했지만 칼 세이건은 텔레비전이 미국사회에 행사하는 엄청난 영향력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런’ 인터넷 바카라는 되지 마세요!
3장. 그렇다면 이야기를 꾸며내는 역량은? 칼 세이건의 소설 ≪콘택트≫는 베스트셀러였으며 후에 조디 포스터가 나오는 블록버스터 영화로까지 만들어졌다. 그는 훌륭한 이야기가 행사할 수 있는 힘을 믿었으며, 종교인은 아니지만 종교나 신화가 인간의 심리에 작용하는 기능에 대해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것은 수많은 저서의 테마로 활용되었으며 그의 첫 번째 베스트셀러인 ≪에덴의 용≫도 예외는 아니었다.
4장의 내용과 관련해, 그럼 호감도는 어땠을까? 칼 세이건은 똘기에 멍청한 구석이 있는데다가 때론 바보 같기까지 했다. 하지만 그는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그것’을 가지고 있었다. 1990년대 말에 내 영화계 친구인 마크 셸리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생명의 탄생의 주 진행자를 찾다가 새삼 칼 세이건의 영향력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는 수많은 인터넷 바카라들을 인터뷰한 뒤 그 자료 영상을 포커스그룹에 보여주고 코멘트를 받는 등 주 진행자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하던 중이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어느 후보에 대해서도 호감을 표시하지 않자 프로듀서는 머리를 쥐어뜯었다. 그들은 결국 포커스그룹에 물어보았다.
“그럼 누가 주 진행자가 되면 좋겠어요?” 대답은 간단했다. “또 다른 칼 세이건이요.”
“한때는 인터넷 바카라였으나 지금은 영화를 만드는 랜디 올슨은 그의 삶 자체가 ‘하나의 유쾌한 이야기’다. 마흔 즈음 인생의 경로를 과감하게 바꾼 그의 인생 역정도 그렇지만, 그가 만든 영화들도 모두 비범하면서도 개성 넘치는 작품들이며, 이 책 또한 예외가 아니다. 과학계와 영화판을 넘나드는 숱한 예제들로 때론 인터넷 바카라들을 우스꽝스럽게 조롱하고, 때론 신랄하게 비꼬면서도, 과학에 대한 더없이 깊은 애정으로 가득 차 있다. 지적인 유머와 가슴을 울리는 통찰력이 담뿍 담긴 이 책은 과학을 즐기는 법을 가르쳐주는 ‘내밀한 과학애정고백서’라고나 할까? 이 책을 손에 쥔 당신은 정말 운이 좋다!”
- 정재승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인터넷 바카라콘서트≫ 저자
“커뮤니케이션에 둔감한 과학계의 정곡을 찌르는 비평이며, 과학과 자연에 대해 대중들의 관심을 끌고자 하는 한 인터넷 바카라의 유머에 찬 훈훈한 노력이다.”
- 칼 짐머Carl Zimmer≪마이크로코즘≫ 작가
“인터넷 바카라 해설의 고루한 관습과 편견을 바꾸자고 제안하는 책. 또한 인터넷 바카라적인 정확도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인터넷 바카라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대시킬 수 있는 책이다.”
- 크리스 무니Chris Mooney인터넷 바카라 저널리스트, ≪인터넷 바카라전쟁≫ ≪데드룸≫ 작가
지은이 _ 랜디 올슨
1955년 출생. 영화감독·제작자 겸 과학 해설가. 할리우드에 진출하기 전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뉴햄프셔대학에서 해양생물학 교수로 재직했다. 정년 보장의 교수직을 그만두고 남캘리포니아대학교(USC) 영화과에서 석사를 받으며 영화계로 진출했다. 평단의 극찬을 받은 뉴웨이브 과학 다큐멘터리 <얼간이들의 무리: 진화론과 지적 설계론의 향연Flock of Dodos: The Evolution-Intelligent Design Circus과 <시즐: 지구온난화 코미디Sizzle: A Global Warming Comedy를 쓰고 연출했다. 해양보존과 관련해 인터넷 바카라들과 할리우드의 창구 역할을 하는 시프팅 베이스라인스 해양미디어프로젝트ShiftingBaselines Ocean Media Project사의 공동 창시자다. 2008년부터 100차례 이상 미국 전역의 대학을 돌며 <얼간이들의 무리와 <시즐의 상영과 과학토크쇼를 결합한 ‘The Sizzling Dodos College Tour’를 진행하고 있다.
옮긴이 _ 윤용아
1967년 출생. 영화감독,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 교수. 미국 뉴욕대학(NYU)에서 영화전공 예술학사(B.F.A.)를, 미국 UCLA 대학원에서 영화제작실기 석사(M.F.A.) 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영상조명≫ ≪좋은 시나리오 나쁜 시나리오≫ ≪영화 촬영조수 매뉴얼≫ ≪스크립터와 영상 콘티뉴이티≫ 등을 번역했으며,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1. 영화 ‘친구’의 visual concept 및 촬영, 조명 그리고 현상기법(2003, 영상기술학회)을 시작으로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2007년 베를린 인터필름 국제 단편영화제 초청작 <도구를 연출했다. 2003~2011년도까지 서울예대 영화과에서 강의하다 현재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에서 연기와 영상연출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